미세먼지 나쁨 이상 발생시 주요 이행 수칙
황사와 자동차 배기가스 등의 영향으로 미세먼지 농도(PM10)가 자주‘나쁨’단계 상태로 발령 되고 있어 계기교육을 실시하고자 합니다.
- 행동요령(계기교육) 지속적 실시 (실외 활동 자제 교육 및 보건용 마스크 착용 등) - 실내 공기질 관리(공기정화장치 가동, 물걸레 청소 등) - 미세먼지 관련 호흡기 질환 원아 및 학생 적극 관리 이행 |
# 확인하기 3단계 - 미세먼지 기본 건강수칙
# 나는 미세먼지 노출에 대한 민감군인가??
- 노인
- 임산부, 영유아, 어린이
- 심혈관질환자 및 위험군
- 호흡기, 알레르지 질환자 및 위험군
# 미세먼지 노출 후 나타나는 증상
- 호흡기계 : 기침, 가슴 답답함, 호흡 곤란, 쌕쌕거림
- 심혈관계 : 가슴 압박감, 가슴 통증, 가슴 두근거림, 호흡 곤란
- 피부 가려움
- 안구건조, 눈 가려움
# 미세먼지 건강수칙
- 미세먼지 예보현황 확인하기
- 실내 공기질 관리하기
- 보건용 마스크 쓰기
- 배출원 없는 장소에서 운동하기
- 대기오염 심한 곳 피하기
# 미세먼지 기본 건강수칙
미세먼지는 피부와 눈, 코, 인후 점막에 물리적 자극을 유발하고, 크기가 매우 작아 숨쉴 때 폐로 흡입되어 호흡기에 영향을 미치며, 신체 여러 장기에 산화손상을 촉진하여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노출을 줄이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건강수칙을 잘 알고 실천해 주세요.
# 미세먼지 노출 후 나타나는 증상
- 기침 많이 함
- 가슴 답답함
- 호흡 곤란
- 피부 가려움
- 안구건조, 눈 가려움
#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 망막 : 미세혈관 손상
- 허혈성심질환, 심근경색, 심부전, 심부정맥
- 고혈압, 심부정맥
- 당뇨병
- 뇌졸중, 정신질환 악화, 신경발달 장애, 알츠하이머병
- 상기도 감염, 폐렴, 폐암, 폐성장 장애
- 임신성 고혈압, 출생체중 감소, 미숙아 출생, 태아성장 지연
# Why. 미세먼지 대응은 왜 중요한가?
- 조기사망과 질병을 줄일 수 있음
- 삶의 질이 증가함
- 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음
# How. 미세먼지는 인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미세먼지가 혈관에 침투하여 여러 장기에 질병을 유발할 수 있음
- 기저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음
# 평상 시 건강수칙
- 평소 미세먼지 예보를 확인하세요.
- 나는 미세먼지 민감군*인지 확인하세요.
* 임산부, 영유아, 어린이, 노인, 심뇌혈관질환자, 호흡기, 알레르기질환자 등
- 미세먼지 노출 후 나타나는 증상*을 확인하세요.
*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눈이나 피부 자극증상, 기침 등
- 보건용 마스크를 준비하세요.
- 손씻기와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세요.
- 미세먼지가 나쁠 때는 야외활동을 줄이세요.
- 물을 충분히 섭취하세요.
- 비타민과 항산화제가 풍부한 과일과 채소를 드세요.
# 실내 공기질 관리
- 주기적으로 환기하세요.
- 주기적으로 물걸레질을 하고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세요.
- 공기청정기가 있으면 사용하고 필터는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교체하세요.
- 금연하고 간접흡연을 피하세요.
- 미세먼지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세요. : 촛불 켜기, 향 피우기, 방향제 등 사용을 자제하세요.
# 실외 건강수칙
(외출동안)
- 외출 전 미세먼지 예보를 확인하여 활동 계획을 세우세요.
- 미세먼지가 나쁠 때는 외출 시 보건용 마스크를 쓰세요. : 숨이 차거나 머리가 아프면 바로 벗어야 합니다.
- 미세먼지가 나쁠 때는 실외 활동량을 줄이세요.
- 외출 시 대로변, 공사장 주변 등 대기오염이 심한 곳은 피하세요.
(운동을 할 경운 : 미세먼지 노출 시간을 줄이고 강도를 낮추어 운동하세요)
- 공원, 학교 운동장 등 미세먼지 배출원이 없는 장소에서 운동하세요.
- 차량 대기오염이 심한 대로변에서 운동을 자제하세요.
- 미세먼지가 나쁠 때는 실외 운동을 자제하고 실내에서 강도를 낮추어 운동하세요.
# 기타
- 자가용보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세요.
- 대기오염을 악화시킬 수 있는 행위*를 자제하세요.
* 자가용 운행, 야외 BBQ, 화목난로 사용, 폐기물, 논두렁 태우기 등
#대한의학회
#질병관리청 KDCA
#본 수칙은 대한의학회와 질병관리청이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전문가 검토를 거쳐 마련한 것입니다.
#출처 대한의학회, 질병관리청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체국 소포우편 요금 감액 안내 (0) | 2021.06.13 |
---|---|
학교안전정보센터 누리집 개편 주요사항 (0) | 2021.06.11 |
현충일 나라사랑 태극기(弔旗) 달기 (0) | 2021.05.28 |
[계기교육] 환경실천운동, 의병의 날, 환경의 날, 망종 등 가정통신문 (0) | 2021.05.25 |
금연구역 내 흡연자 과태료 감경 및 면제 안내 (0) | 202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