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저것

[계기교육] 제104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계기교육 자료

Yomi 2023. 4. 10. 08:48
반응형

대한민국임시정부 설립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313.1 운동 당시 독립선언을 계기로 경술국치와 그로 인한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 주도와 민주공화국 설립을 위한 목적으로 건립된 임시정부로 줄여서 임정(臨政)이라고도 함.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대한민국임시정부 연혁

1919. 4.10. 상해 프랑스 조계에서 제1회 임시의정원 개원

1919. 4.11. 임시헌장 10조 제정(1회 임시의정원회의)

1919. 9.11. 1차 개헌으로 한성, 상하이, 노령의 임시정부 통합

1919.12. 대한민국육군임시군제 마련, 군대편성 계획 수립

1920. 봉오동 전투(6), 청산리 대첩(10)

1923. 1. 3. 국내외 독립단체 130여명이 모여 국민대표회의 개최

1930. 1. 임시정부 지지 정당으로 한국독립당 창당

1932. 1. 8. 이봉창 일왕 투탄 의거(일본 동경)

1932. 4.29. 윤봉길 홍구공원 투탄 의거(중국 상해)

1940. 9.17. 한국광복군 창설(사령관 李靑天)

1941.11.28. 대한민국건국강령 발표

1941.12. 9. 대일선전포고

1945.11.23. 815광복으로 환국

대한민국임시정부 이동 경로

대한민국임시정부 이동 경로

상하이 시기(1919~1932)

이동의 시기(1932~1940)  항저우 전장 창사 광저우 류저우 치장

 

충칭 시기(1940~1945)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기념식 연혁

1989년까지 한국독립유공자협회 주관 기념식 거행

1989.12.30.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기념일 제정(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12876)

1990.4.13. 72주년 기념식부터 정부주관 행사로 거행

2018.11.2.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기념일 변경(4.13.4.11.)

변경요지 : 413일로 되어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을 국호(國號)와 임시헌장을 제정하고 내각을 구성한 날인 411일로 변경

 
반응형